안녕하세요, 최근 브로드컴이 급등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반도체에서는 엔비디아가 독주체제였는데 그 균형이 조금씩 깨지는거 아니냐는 말들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AI 반도체 칩의 종류 (훈련, 추론)
AI 반도체 칩은 훈련과 추론 용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AI 훈련 과정은 방대한 데이터 처리와 복잡한 연산 작업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엔비디아의 GPU가 적합했습니다.
- 최근 AI 모델은 훈련 이후 추론 단계로 넘어가는 중이고, 추론은 훈련 단계에서 배운 지식을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입니다. 이때는 모델이 고정되고 범용성보다는 맞춤형 반도체(ASIC)를 통한 효율적인 실행이 중요해집니다. (ex. 그림 AI, 수학 AI, 사무 AI 등)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이 제작하는 반도체의 차이
▶ 엔비디아 (티커 : NVDA)
GPU(표준형 반도체)를 제작합니다. 이는 범용성 높은 반도체로, 여러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브로드컴(티커 : AVGO)
ASIC(주문형 반도체)를 제작합니다. 이는 특정 기능만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반도체로, 기업이 필요한 기능만 탑재해 맞춤 제작합니다. 최근 엔비디아의 GPU의 높은 가격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브로드컴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브로드컴이 주목받는 이유
GPU의 최대 고객사 중 하나였던 메타가 브로드컴에 의뢰를 논의중이고, 그 외에도 구글, 틱톡, 애플 등이랑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짐 켈러가 엔비디아 칩은 너무 비싸서 안된다고 부정적으로 말해왔습니다.
※ 짐 켈러 (반도체의 아버지) : AMD, 애플, 테슬라, 인텔, 그리고 현재의 Tenstorrent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업계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온 인물
최근 실적과 주가 상승세
2024년 연말부터 브로드컴의 주가는 급등해서 주가 상승 그래프의 기울기가 수직에 가까울 만큼 급격하게 상승하였습니다. 단기간에 급등한 만큼 2025년 연초에는 주춤한 모습입니다.
주가의 적정 가치를 알 수 있는 PER(주가수익비율)를 비교해보면 AVGO는 177배, NVDA는 54배입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매출 성장률에 비해 AVGO의 PER(주가수익비율)는 과하게 높은 편입니다.
최근 주가 급등으로 인해 AVGO의 가치가 지나치게 고평가 됐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브로드컴 투자 이유
이런 이유에도 불구하고 브로드컴에 투자하면 좋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15년 연속 배당금을 인상할만큼 주주 친화적인 기업입니다. 배당금과 주가 인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어려운데 그걸 해내는 기업입니다.
브로드컴은 컨퍼런스 콜에서 AI 제품 판매가 다음 분기에 65%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AI 제품 분야가 급성장할 거라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AI 훈련용 칩 시장 점유율 95%로 장악하면서 2022년 마진율 53%에서 2024년 74%로 끌어올렸습니다.
이를 감안했을 때 맞춤형 칩 시장의 55~60%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브로드컴의 다음 분기 마진율은 66%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에 따른 수익 상승이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또한 위에서 설명했듯이 AI 반도체가 훈련 단계에서 추론 단계로 넘어가는 중이므로 보다 효율적인 맞춤형 반도체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단기간 급증하여 매수하기 부담스러운 주가이지만 투자할 가치가 있는 기업이므로 조금씩 분할 매수할 계획입니다.
해당 내용은 참고만 하시고, 투자 판단은 본인이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금융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용어 총 정리 - ROE, PER, PBR, EPS 등 (0) | 2025.02.24 |
---|---|
[종목분석 2편] AI 전력 인프라 관련주 - Vistra, Constellation, Nextera, GE Vernova (1) | 2025.02.19 |
[원자재 2편] 원유 투자, 핵심 개념부터 투자 전략까지! (0) | 2025.02.17 |
[원자재 1편] 원자재 투자 이유? 투자 시기? 투자 시 주의점? (0) | 2025.02.15 |
[경제지표 2편] 투자를 위해 한 달 주기로 확인해야 하는 경제지표 소개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