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자재 투자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주식, 부동산, 채권 외에도 원자재는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중요한 투자 자산인데요. 원자재 투자 이유부터 종류, 그리고 언제 투자하면 좋은지, 달러와의 관계, 투자 시 주의점까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원자재 투자 이유
원자재는 인플레이션 헤지에 가장 우수한 자산입니다.
물가가 오를 때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금과 같은 자산은 화폐 가치 하락 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물가 상승 시 주식, 국채에 비해 원유, 금, 원자재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 투자 시기
① 달러 약세 국면
원자재 거래 시 달러로 주고받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은 달러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다른 통화 대비 원자재를 구매하는 비용이 증가하여 수요가 감소합니다.
이 때문에 달러화와 원자재는 역의 상관관계를 그립니다.
② 인플레이션 상승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원자재 가격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③ 공급망 불안정 시기
원유·천연가스는 중동, 러시아 등의 지정학적 이슈 발생 시 공급 차질이 발생하여 가격이 상승합니다.
또한 농산물은 기후 변화나 주요 생산국 정책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증가합니다.
이처럼 원자재는 수요-공급뿐만 아니라 갑작스러운 이슈 발생으로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투자 시 주의사항
모든 원자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원자재를 분석할 때는 단순히 한 가지 원자재의 수요-공급만을 확인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 테면 돈육을 분석할 때는 돈육의 수요-공급뿐 아니라 대체 자산인 육우의 수요-공급과 비육돈에게 투여할 사료의 원료까지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원자재는 주식, 채권과 다르게 계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추운 겨울 난방용 수요인 천연가스는 11~2월, 미국의 최대 휘발융 소비기간인 드라이빙 시즌 6~8월, 주 공급지의 산지별 우기와 같은 계절성이 있어 투자 시 유념해야 합니다.
'금융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1편] 브로드컴 - 엔비디아의 대항마? 비교 분석 (1) | 2025.02.18 |
---|---|
[원자재 2편] 원유 투자, 핵심 개념부터 투자 전략까지! (0) | 2025.02.17 |
[경제지표 2편] 투자를 위해 한 달 주기로 확인해야 하는 경제지표 소개 (0) | 2025.02.11 |
[자산분배 1편] 경기 상승일 때 주식? 경기 둔화일 때 채권? (1) | 2025.02.07 |
환율과 미국 신용증거금으로 알아보는 한국 주식 투자 타이밍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