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주식

[자산분배 1편] 경기 상승일 때 주식? 경기 둔화일 때 채권?

반응형

안녕하세요,

앞의 글들에서 설명한 지표들을 토대로 경기 상황이 파악되면, 이제는 경기 상황에 따른 투자 자산을 잘 골라야 합니다. 

 

경기 상승일 때는 주식? 경기 둔화일때는 채권? 이게 정답일까요?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책에는 이러한 내용이 자세히 설명되어 투자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기 상승과 하락구간에서 주요 자산의 평균 수익률과 변동성을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경기 상승 구간에서는 주식을 매수하면서 IT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IT는 경기 상승 구간의 평균 수익률은 원유보다 낮지만 경기 하락 구간의 상승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를 편입하면 경기 국면 판단 오류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경기 하락 국면에서는 채권을 매수하면서 금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하락 국간의 평균 수익률은 장기채가 월등하지만 경기 상승 시 금의 평균 수익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자산을 이렇게 굳이 4개로 나눠야 하는지 의문이 들 수도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경기 국면을 감안한 전략 C(주식+IT vs 채권+금)와 경기 국면을 감안하지 않고 각 25%씩 균등배분한 D, 전세계 주식을 비교한 것 입니다. 

 

경기국면을 감안하여 4개 자산으로 분배한 성과가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그렇다면 주식,IT, 금,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간편하게 관련 ETF를 매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어 아래 그림에서 소개하겠습니다. 

투자 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지금까지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책에 소개된 자산배분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경기 국면에 따라 자산 선택을 잘하셔서 좋은 결과로 이루어지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