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앞의 글들에서 설명한 지표들을 토대로 경기 상황이 파악되면, 이제는 경기 상황에 따른 투자 자산을 잘 골라야 합니다.
경기 상승일 때는 주식? 경기 둔화일때는 채권? 이게 정답일까요?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책에는 이러한 내용이 자세히 설명되어 투자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기 상승과 하락구간에서 주요 자산의 평균 수익률과 변동성을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 상승 구간에서는 주식을 매수하면서 IT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IT는 경기 상승 구간의 평균 수익률은 원유보다 낮지만 경기 하락 구간의 상승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를 편입하면 경기 국면 판단 오류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경기 하락 국면에서는 채권을 매수하면서 금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하락 국간의 평균 수익률은 장기채가 월등하지만 경기 상승 시 금의 평균 수익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자산을 이렇게 굳이 4개로 나눠야 하는지 의문이 들 수도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경기 국면을 감안한 전략 C(주식+IT vs 채권+금)와 경기 국면을 감안하지 않고 각 25%씩 균등배분한 D, 전세계 주식을 비교한 것 입니다.
경기국면을 감안하여 4개 자산으로 분배한 성과가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식,IT, 금,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간편하게 관련 ETF를 매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어 아래 그림에서 소개하겠습니다.
투자 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지금까지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책에 소개된 자산배분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경기 국면에 따라 자산 선택을 잘하셔서 좋은 결과로 이루어지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금융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1편] 원자재 투자 이유? 투자 시기? 투자 시 주의점? (0) | 2025.02.15 |
---|---|
[경제지표 2편] 투자를 위해 한 달 주기로 확인해야 하는 경제지표 소개 (0) | 2025.02.11 |
환율과 미국 신용증거금으로 알아보는 한국 주식 투자 타이밍 (1) | 2025.02.04 |
[경제지표 1편] OECD 경기선행지수, 글로벌 유동성 증가율 (0) | 2025.02.03 |
중국 사회융자총액과 생산자물가지수로 알아보는 투자 타이밍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