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주식

환율과 미국 신용증거금으로 알아보는 한국 주식 투자 타이밍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국 주식은 외국인의 수급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외국인의 투자 심리를 알 수 있는 환율과 미국 신용증거금 분석을 통해 투자 타이밍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개념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주식 투자를 위한 필수 지표 확인 3편

안녕하세요, 주식 투자를 위해 거시 경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오늘은 1편 신용 사이클과 2편 경기 사이클에 이어서 심리 사이클을 확인할 수 있는 필수 지표 2개를 설명하겠습니다. 

every-haha.tistory.com

 

 

먼저, 환율과 국내 주식시장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환율 상승 즉 원화 약세인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수익을 달러로 환전하면서 손해가 발생(환차손) 하기 때문에 국내 주식 매도세가 커집니다. 

반대로, 환율 하락 즉 원화 강세인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달러로 환전할 때 유리하기 때문에(환차익) 국내 주식 매수세가 증가합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 주식 상황이 좋고 원화가 강세 (환율 하락)를 보이면서 긍정적인 언론이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매도가 계속되고 있다면, 조심해야 합니다.

→ OECD 글로벌 경기선행지수가 100pt를 넘어서서 경기 확장을 보이고 환율이 1,100원 근처까지 내려왔다면 경기의 정점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한국 주식시장이 좋지 않고 비관적인 뉴스가 들려옴에도 외국인 매수로 인한 지수 반등이 이어진다면 또 의심해봐야 합니다. 

OECD 글로벌 경기선행지수가 100pt를 깨고 내려왔고,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면 언론에서 위기 국면을 조성하는 분위기라면? 경기의 바닥을 보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추가로, 확인하면 좋은 지표가 미국 신용증거금 증가율입니다. 

 

경기선행지수(100pt 이상)와 낮은 환율을 확인한 다음 미국 신용증거금 증가율을 보니 과열 상태(전년보다 20% 증가)라면 시장이 과열 국면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신용증거금 증가율이 공포 국면(전년보다 감소한 경우)이라면 점차 바닥권에 진입하고 있다고 봅니다. 

아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 신용증거금이 커질수록 코스피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합니다. 

출처 : 한국형 탑다운 투자전략

 

※ 미국 신용증거금 확인방법 : https://www.finra.org/rules-guidance/key-topics/margin-accounts/margin-statistic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