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로서 매매 실패는 한 번쯤 겪을 수밖에 없는 과정이지만 실패 이유를 분석하고 똑같은 실패를 하지 않도록 깨달음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 투자 일기를 통해 본인의 매매 거래를 구체적으로 떠올리며 뒤돌아 보는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 제가 투자한 종목들의 매매 가격, 이유, 수익 등을 정리하면서 건강한 투자를 지속하기 위해 투자 일기를 써나가려고 합니다.
1. 투자이유
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자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가 금리인하, 확대재정 등을 통해 경기부양 정책을 경쟁적으로 실행하였으나,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은행(FED)에서는 0.25%까지 떨어트린 금리를 2022.3월부터 인상시키기 시작했습니다.
그로 인해 금리 인하 수혜주였던 채권 관련 ETF 가격이 곤두박질치기 시작했으나,
2023년부터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점차 안정화되어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대되기 시작했습니다.
금리인하는 곧 채권가격 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국내 증권사들은 미국 국채 관련 ETF를 출시했고, ACE 미국 30년 국채액티브 ETF도 2023년 3월 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 8월 CPI가 반등(아래 첫 번째 그래프 참고)하면서 미국 국채 가격의 하락세가 다시 시작됐습니다. (아래 차트 속 파란색 박스 참고)
2023년 11월 파월 의장이 비둘기파적인 발언을 내놓자 국채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위 차트 속 빨간색 박스 참고) [관련기사]
2023년 12월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준 지표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개인 소득과 지출은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나 연준이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연착륙에 성공할 가능성을 예고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국채 관련 ETF를 매수하려 했고, 환율이 지속적으로 오를 거라고 생각하여 환헤지형 상품으로 선택했습니다.
2. 매수가격
300주를 8,080원에 매수하였고, 추후에 조금씩 매수하여 평균단가는 8,090원입니다. 현재가는 9,155원이므로 수익률은 13% 정도 됩니다.
3. 향후전망
내년 3월 첫 번째 금리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해당 ETF는 상장 이후 최고점 대비 현재 10% 정도 가격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고, (아래 차트 속 빨간색 박스 참고)
추후 금리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채권 가격은 더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판단되므로 좀 더 보유할 예정입니다.
'금융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를 위한 필수 지표 확인 3편 (환율, 신용증거금) (1) | 2025.01.30 |
---|---|
주식 투자를 위한 필수 지표 확인 2편 - OECD 경기선행지수 (0) | 2025.01.28 |
주식 투자를 위한 필수 지표 확인 1편 - 장단기 금리차, 하이일드 스프레드 등 (0) | 2025.01.27 |
[종목분석 1편] AI시대 - 어도비(ADBE) (1) | 2024.02.06 |
2024년 미국주식 주도주 찾는법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