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짠테크

알뜰교통카드 비교

반응형

2023년 8월부터 서울시 버스요금 300원 인상, 2023년 10월부터 지하철 요금이 150원 인상됐습니다.

매일 이용하는 대중교통인 만큼 비용 인상 부담이 많은 분들에게 직접적으로 느껴질 것 같습니다.  알뜰교통카드를 통해 교통비 절약하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알뜰교통카드 개념

알뜰교통카드는 국민들의 대중교통 비용 절감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거리(보행, 자전거 등)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2. 알뜰교통카드 적립방법

  • 마일리지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걸어간 거리(최소 800m 이상)를 환산하여 적립해 줍니다.
  •  

  • 사용금액과 계층에 따라 적립액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단, 이동거리 확인 불가 시 50원 지급)
  •  

  • 대중교통 월 15회 이상 사용 시 최대 60회 지급되며, 이상 사용 시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한 적립금이 지급됩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시켜 출발지에서 "출발하기" 버튼을 누르고, 도착한 후 "도착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동거리가 자동계산되어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위젯으로 출발하기, 도착하기 버튼을 바탕화면에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최소 15,000원에서 66,000원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알뜰교통카드 비교

알뜰교통카드는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로 나뉩니다.

먼저, 체크카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카드사를 선택하면 해당 카드 신청화면으로 연결됩니다.)

카드사 전월실적 대중교통비 할인율 기타 할인혜택
신한 20만원~100만원  최고 10% 캐시백 (실적에 따라 2천원~7천원)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시 캐시백,
도서/어학 캐시백,
스타벅스/커피빈 캐시백 등
우리 20만원 ~70만원 월 5만원 이상 사용시 3천원 캐시백 온라인 쇼핑몰/영화관/편의점 할인 등
하나 25만원 15% 캐시백 (최대 5천원) 해외직구 대행료 캐시백
국내 온라인쇼핑 캐시백 등
삼성 30만원 10% 캐시백 (최대 2500원)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시 캐시백,
편의점/커피전문점/제과 캐시백
cgv 할인등
국민 20만원 10% 캐시백 (최대 2천원)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시 적립,
커피전문점/편의점/영화 적립 등
케이뱅크 무관 * 건당 250~450원 캐시백
* 월 5만원 이상 사용시 3천원 추가 캐시백
생활영역 가맹점에서 300원~500원 캐시백
(편의점, 카페, 베이커피, 패션 등)
기업 30만원~50만원 건당 100원 할인 편의점/온라인 쇼핑몰/영화/커피전문점 할인 등
농협 발급종료 -

 

케이뱅크의 기타 할인혜택인 생활영역 가맹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대상 가맹점이 가장 다양하고 대중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용카드도 다양한 혜택이 있지만 전월실적과 연회비 조건이 있어 추가로 신용카드를 만들기 부담스러운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도 더 좋고 연회비 부담이 없는 체크카드 중 개인의 소비패턴에 맞는 카드를 발급받아 다양한 할인 및 적립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4. 추천 카드 (개인의견 주의)

알뜰교통카드 신용카드도 다양한 혜택이 있지만 전월실적과 연회비 조건이 있어 추가로 신용카드를 만들기 부담스러운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도 더 좋고 연회비 부담이 없는 체크카드 중 개인의 소비패턴에 맞는 카드를 발급받아 다양한 할인 및 적립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케이뱅크 체크카드가 유일하게 전월실적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기타 할인혜택도 가장 유용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